ORA-01017 오류 완벽 해결! 로그인 실패 원인과 해결 방법 총정리

너구리도토리

·

2025. 2. 17. 21:21

반응형

ORA-01017 오류 완벽 해결! 로그인 실패 원인과 해결 방법 총정리

서론

오라클 데이터베이스를 운영하거나 개발하는 과정에서 가장 흔하게 접할 수 있는 오류 중 하나가 바로 "ORA-01017: invalid username/password; logon denied" 오류입니다. 이 오류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사용자명(username) 또는 비밀번호(password)가 올바르지 않거나, 특정 보안 설정으로 인해 로그인 시도가 거부될 때 발생합니다.

하지만 문제는 단순히 비밀번호를 다시 입력한다고 해서 해결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는 것입니다. 왜 같은 사용자명과 비밀번호를 입력했는데도 오류가 발생할까요?

ORA-01017 오류는 단순한 로그인 실패 메시지 그 이상입니다. 특히 오라클 11g 이상 버전부터 비밀번호의 대소문자가 구분되면서 기존에는 정상적으로 로그인되던 계정이 갑자기 로그인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또한, 계정이 잠겼거나 비밀번호가 만료된 경우, 데이터베이스 보안 정책(sqlnet.ora)이 로그인 방식을 제한하는 경우, TNS 설정이 잘못되었을 경우에도 동일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많은 초보 개발자나 관리자들은 이 오류를 단순히 "비밀번호가 틀렸다" 정도로 생각하고 해결 방법을 찾지 못해 헤매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ORA-01017 오류는 다양한 원인이 존재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원인 분석과 적절한 해결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ORA-01017 오류의 원인과 해결 방법을 최대한 상세하고 깊이 있게 분석하여, 오류 발생 시 실무에서 즉시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드리겠습니다.
로그인 오류 때문에 당황하거나, 데이터베이스 접근이 막혀 답답했던 경험이 있으신가요?
지금부터 ORA-01017 오류의 모든 가능성을 파악하고, 가장 적절한 해결책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드리겠습니다.

ORA-01017 오류란?

ORA-01017 오류는 **"invalid username/password; logon denied"**라는 메시지와 함께 나타나며,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에 로그인하려는 사용자가 잘못된 사용자명(username) 또는 비밀번호(password)를 입력했을 때 발생하는 오류입니다.

이 오류는 단순히 자격 증명이 잘못 입력된 경우뿐만 아니라, 데이터베이스의 보안 설정, 사용자 계정 상태, 비밀번호 정책, 접속 방식 등의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단순히 비밀번호를 다시 입력하는 것만으로는 해결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오라클 11g 이후 버전부터는 비밀번호의 대소문자가 구분되기 시작하면서 기존의 환경에서 갑자기 로그인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또한, 비밀번호 만료 정책이나 계정 잠금 설정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에도 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본 가이드에서는 ORA-01017 오류가 발생하는 가능한 모든 원인과 해결 방법을 하나하나 분석하여, 사용자가 실무에서 직접 해결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겠습니다.

ORA-01017 오류가 발생하는 주요 원인 분석

ORA-01017 오류는 다양한 이유로 발생할 수 있으며, 대부분 다음과 같은 원인에서 비롯됩니다.

1. 사용자명 또는 비밀번호 오타

  • 가장 기본적인 원인으로, 입력할 때 사용자명이나 비밀번호에 잘못된 철자가 포함되었거나 오타가 있는 경우입니다.
  • 특히 대소문자를 구분하는 최신 버전의 오라클에서는, 사용자가 평소와 동일한 방식으로 입력했음에도 불구하고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비밀번호 대소문자 구분 오류 (Oracle 11g 이상)

  • Oracle 11g부터 비밀번호가 대소문자를 구분하기 시작했습니다.
  • 예를 들어, 비밀번호가 "Oracle123"이라면 "oracle123"으로 입력할 경우 로그인 실패가 발생합니다.

3. 계정이 잠김 또는 비밀번호 만료

  • 일정 횟수 이상 잘못된 로그인 시도가 발생하면 계정이 자동으로 LOCK(잠김) 상태가 되거나,
  • 오라클의 보안 정책에 의해 비밀번호가 만료되었을 수 있습니다.

4. 데이터베이스 설정 파일(sqlnet.ora)의 보안 정책 문제

  • sqlnet.ora 파일의 설정에 따라 원격 접속이 제한되거나 특정 인증 방식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 예를 들어, SEC_CASE_SENSITIVE_LOGON = TRUE로 설정되어 있으면 비밀번호 대소문자를 반드시 구별해야 합니다.

5. TNS 설정 문제

  • 사용자가 원격에서 접속할 때 tnsnames.ora 설정이 잘못되었거나, 올바른 TNS 이름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도 ORA-01017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ORA-01017 오류 해결 방법

ORA-01017 오류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발생 원인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1. 사용자명과 비밀번호 재확인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입력한 사용자명과 비밀번호가 정확한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 대소문자가 올바르게 입력되었는지 확인하세요.

SQL> CONNECT username/password@database;

위 명령어를 실행할 때, 대소문자가 구별되는 환경에서는 반드시 올바른 형태로 입력해야 합니다.

  • 잘못된 예:(SCOTT 계정이 소문자로 입력되었거나, 비밀번호가 잘못 입력된 경우 오류 발생)
    • CONNECT SCOTT/tiger@ORCL;
  • 올바른 예:(비밀번호가 대소문자 구별되므로 정확히 입력)
    • CONNECT scott/TIGER@ORCL;

2. 비밀번호 대소문자 구분 설정 변경 (Oracle 11g 이상)

오라클 11g 이상에서는 비밀번호가 기본적으로 대소문자를 구분합니다.
만약 기존 시스템에서는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았는데, 오라클 11g 이상으로 업그레이드되면서 로그인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비밀번호 대소문자 구분을 비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 해결 방법: 대소문자 구분 해제

ALTER SYSTEM SET SEC_CASE_SENSITIVE_LOGON = FALSE;

이 명령을 실행하면 비밀번호 입력 시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게 되어 기존 방식대로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보안상 비밀번호 대소문자 구분을 활성화하는 것이 권장되므로, 가능하면 대소문자를 구분한 상태에서 새로운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3. 계정 잠금 해제 및 비밀번호 재설정

사용자의 계정이 여러 번 로그인 실패로 인해 잠긴 경우 ORA-01017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관리자(SYSDBA) 계정으로 로그인한 후 계정을 확인하고 잠금을 해제해야 합니다.

🔹 계정 상태 확인

SELECT USERNAME, ACCOUNT_STATUS FROM DBA_USERS WHERE USERNAME = '사용자명';

🔹 계정이 잠겼다면 잠금 해제

sql
복사편집
ALTER USER 사용자명 ACCOUNT UNLOCK;

🔹 비밀번호가 만료된 경우 새 비밀번호 설정

ALTER USER 사용자명 IDENTIFIED BY 새비밀번호;

이제 다시 로그인하여 오류가 해결되었는지 확인합니다.

4. TNS 설정 문제 해결

TNS 설정 문제로 인해 ORA-01017 오류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특히, 원격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 tnsnames.ora 파일이 올바르게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 tnsnames.ora 설정 예시

ORCL =
  (DESCRIPTION =
    (ADDRESS_LIST =
      (ADDRESS = (PROTOCOL = TCP)(HOST = 192.168.1.100)(PORT = 1521))
    )
    (CONNECT_DATA =
      (SERVICE_NAME = orcl)
    )
  )

🔹 TNS 설정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확인

tnsping ORCL
 

이 명령을 실행했을 때 응답 시간이 나오면 정상적으로 연결이 가능하다는 의미입니다.

5. sqlnet.ora 파일의 보안 정책 확인

sqlnet.ora 설정이 잘못되어 ORA-01017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보안 정책에 따라 특정 인증 방식이 강제되는 경우, 로그인에 실패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sqlnet.ora 파일에서 다음 설정 확인

SQLNET.AUTHENTICATION_SERVICES = (NONE)
SEC_CASE_SENSITIVE_LOGON = TRUE

대소문자 구분 문제를 해결하려면 SEC_CASE_SENSITIVE_LOGON 값을 FALSE로 변경하세요.

결론

ORA-01017 오류는 오라클 데이터베이스를 운영하는 과정에서 흔히 발생하는 문제지만, 그 원인을 정확히 이해하고 해결 방법을 익혀두면 더 이상 두려워할 필요가 없습니다. 이 오류는 단순히 비밀번호 입력 실수에서 비롯될 수도 있지만, 비밀번호 대소문자 구분, 계정 상태, 보안 정책, TNS 설정, 네트워크 환경 문제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ORA-01017 오류가 발생했을 때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차례로 점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1단계: 사용자명과 비밀번호 입력을 정확하게 확인하기
✔️ 2단계: Oracle 11g 이상에서는 비밀번호 대소문자 구분 여부를 확인하고 필요하면 설정 변경하기
✔️ 3단계: 계정이 잠겼거나 비밀번호가 만료되었는지 확인하고 잠금 해제 및 비밀번호 재설정하기
✔️ 4단계: 데이터베이스 보안 정책(sqlnet.ora 설정) 문제를 점검하고 필요하면 변경하기
✔️ 5단계: 원격 접속 시 TNS 설정 오류를 확인하고 수정하기

이 단계를 순차적으로 점검하면 대부분의 ORA-01017 오류를 빠르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점은 보안성을 고려하면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대소문자 구분이 문제라면 보안을 유지하면서 사용자가 올바르게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안 정책을 무분별하게 완화하는 것은 피해야 합니다.

또한, DBA(데이터베이스 관리자)는 항상 계정 관리 정책과 로그인 실패 기록을 주기적으로 점검하여, 계정이 불필요하게 잠기거나 비밀번호가 예상치 못하게 만료되는 일이 없도록 미리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DB 운영을 하다 보면 ORA-01017과 같은 로그인 오류는 누구나 겪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글에서 설명한 내용을 숙지하고 적용하면, 더 이상 로그인 실패로 시간을 허비하지 않고 빠르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제 ORA-01017 오류를 마주하더라도 당황하지 마세요!
원인과 해결 방법을 정확히 알고 있다면, 이 오류는 더 이상 걸림돌이 되지 않을 것입니다.

🔹 여러분의 경험을 공유해주세요!
혹시 다른 해결 방법을 찾으셨나요? ORA-01017 오류 해결 과정에서 어려운 점이 있으셨다면 댓글로 질문을 남겨주세요!
더 많은 사람들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추가적인 해결책을 함께 나눠보겠습니다. 🚀🚀🚀

반응형

💖 저자에게 암호화폐로 후원하기 💖

아이콘을 클릭하면 지갑 주소가자동으로 복사됩니다